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카메라와 빛(광선) 1 - 빛의 뜻, 빛의 성질, 빛은 무엇일까? 빛의 뜻 사진은 빛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빛의 예술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빛은 사진에서 1순위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빛의 역할이나 성질에 대해서 이해해야 사진에 접근하는 데에 용이합니다. 광원에서 나온 빛은 진공에서 사방으로 퍼져나갑니다. 이때 균일한 매질을 지날 때는 직진하는 성질을 가지지만, 중간에 장애물을 만나면 회절하고 간섭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빛은 17세기부터 여러 현상과 학자에 따라 다른 학설을 내어놓았습니다. 뉴턴은 최초로 '빛은 작은 입자의 흐름이다'라는 입자설이 주장하면서 직진과 반사 그리고 굴절의 성질을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영과 호이겐스는 빛은 매질이 전파하는 횡파라고 하는 파동설도 나왔고, 1800년대에 맥스웰은 빛의 전자파 설을 주장했습니다.. 2022. 10. 4.
카메라의 조리개와 셔터 - 조리개 뜻, 조리개 종류, 셔터 뜻, 셔터 종류, 셔터 속도 조리개의 뜻 조리개는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빛의 양을 조절해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여 아웃 포커싱, 인 포커싱, 팬 포커싱을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렌즈의 수차를 작게 해 렌즈의 해상력을 향상합니다. 조리개의 종류와 특징 조리개는 전군 렌즈와 후군 렌즈 사이의 제2 주점에 위치합니다. 조리개를 한단계 열면 광량이 2배로 많아지고, 조리개를 한 단계 조이면 광량이 반으로 줄어듭니다. 조리개는 홍채 조리개, 간이 조리개, 차입식 조리개 등이 있으며 홍채 조리개를 주로 사용합니다. 1.4, 2, 2.8 4, 5.6, 8, 11, 16, 22, 32 등으로 루트 2씩 곱하는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충 1.4를 곱하면 해당 값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2022. 10. 3.
렌즈의 수차 -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 상면만곡수차, 왜곡수차, 색수차 렌즈의 수차란? 렌즈가 초점면에 맺는 상은 피사체의 형태와 똑같은 영상이 완전히 되지는 않습니다. 영상이 변형되거나 혹은 흐려질 수도 있고 색의 번짐이나 콘트라스트 차이의 현상으로 결함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렌즈의 수차라고 합니다. 수학자 자이델은 렌즈의 수차를 5가지로 말했습니다. 피사체의 한 점에서 나온 빛이 렌즈를 통과한 후 촬상 소좌 위에 한 점에 모여져야 할 곳에 모여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사진이 흐려지는 원인이 되는 5가지 수차를 자이델이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이를 자이델 수차라고 합니다. 자이델이 분류한 렌즈의 구면 때문에 생기는 5가지의 수차를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 상면만곡수차라고 합니다. 여기에 색수차를 포함해 총 6대 수차가 있습니다. 구면수차 광.. 2022. 10. 2.
카메라의 렌즈와 종류 유효 구경과 초점거리 렌즈를 놓았을 때 조리개부터 필름까지의 직선거리를 렌즈의 초점거리라고 합니다. 렌즈에 표기할 때는 예를 들면 f=28mm, F2.8로 표기하는데 대문자 F는 조리개를 말하며, 초점 거리는 소문자 f로 표기합니다. 렌즈의 전면에 1 : 1.4 혹은 1 : 2등으로 표시하는데, 이는 유효 구경을 표시하는 것으로 f=28mm의 1 : 2는 유효 구경을 1로 하였을 때의 초점거리가 2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렌즈의 유효 구경은 14mm입니다. 포괄 각도와 이미지 서클 실제로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상은 원형으로 맺힙니다. 이때 광축에 수직인 결상 면에 맺힌 상의 밝기는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다가 일정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 한계가 되는 원을 조명원이라고 합니다. 조명.. 2022. 10. 2.